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어깨힘줄파열 수술없어도 돼요

어깨힘줄파열 수술없어도 돼요





어깨힘줄파열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면 마치 중부상이 나타났을 거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줄로 압니다. 이 어깨힘줄파열이회전근개의 힘줄에서 나타난 파열성 질환으로 이 파열이라는 말 때문에 주로 오해를 사는 경우가 많은데요. 질환이란 자세한 검사나 진단을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으며 병명만 가지고서는 판단이 어렵습니다. 더욱이 어깨힘줄파열과 같은 만성증상은 수술이나 큰 시술이 필요한 경우가 무척 드뭅니다.


파열이란 단지 병리적인 명칭으로 어떠한 심각성을 알 수는 없는데요. 게다가 이 어깨힘줄파열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고 있는 만성질환인데, 이를 다 수술로 치료할 수는 없는 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어깨힘줄파열은 많은 수술이 있는데요. 오늘은 이 질환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과, 이 원인을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어깨힘줄파열, 회전근개


어깨힘줄파열에서 어깨힘줄은 회전근개를 구성하는 근육의 힘줄을 말하는 것입니다 회전근개란 어깨 관절을 덮개 처럼 덮고 있는 근육의 모임으로 팔의 회전 등 동작을 담당하는 네 근육을 말합니다. 이 네 개의 근육은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이며 근육마다 자기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주로 문제를 일으키는 근육의 힘줄은 극상근의 힘줄입니다.


회전근개는 하루에 삼만 번을 넘게 활동하여 운동을 한다거나 활동력이 좋지 않은 사람역시 회전근개를 상당 수 활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 기관이 특히 만성증상에 예민한 편인데, 섬유화나 퇴행성 변화와 같은 증상이 특히 회전근개의 어깨힘줄에 나타나게 됩니다. 또 사람이라면 누구나 팔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전근개가 어느 정도 섬유화를 일으킬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주된 어깨힘줄파열의 원인은 섬유화로 인해서 작용할 때가 많습니다.







#섬유화


섬유화란 섬유처럼 질기고 뻣뻣해진다는 말을 의미합니다. 힘줄에서 보통 많이 나타나게 되며, 힘줄이 질겨지고 뻣뻣해지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힘줄이라면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워야 하는데 섬유화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힘줄의 저기능을 펼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이 섬유화는 스트레스나 피로, 노령화, 체질 자세나 습관의 문제로 나타나게 됩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섬유화는 있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섬유화의 정도인데요. 정상적인 섬유화의 진행속도라면 괜찮겠으나, 이 정도가 심해지게 되어 결림이나 뭉침, 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또 여기서 더욱 심해질 경우에는 힘줄이 마르거나 갈라짐, 닳아 떨어짐과 같은 여러가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이 보이게 되면 어깨힘줄파열이라는 진단이 나오게 됩니다. 즉, 어깨힘줄파열이란 힘줄이 찢어졌다거나 끊어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어깨 힘줄에 나타난 어떠한 진행 중인 염증을 말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회전근개파열 통증의 기전


회전근개 힘줄에는 신경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회전근개가 섬유화되어 닳기까지 10년이 넘는 동안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가 파열이 많이 진행되어 근력이 특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유착이 와서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때에는 병원에 찾아온다고 해도 이미 회전근개파열이 진행된 뒤입니다.


많은 분들이 통증을 느끼고 병원을 찾았지만 회전근개파열의 진단을 받고 당황해하시기도 하십니다. 하지만 이는 이미 예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통증과 유착이 와서 병원을 찾게 된 것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어깨힘줄파열의 치료


어깨힘줄파열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힘줄의 기능을 살리고 평생 잘 사용하도록 치료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섬유화를 해결하여 탄성을 회복, 또 근력을 살려내어 유착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통증이 사라지게 되고 파열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섬유화는 노령화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나이가 들면 누구나 힘줄이 닳기 마련이라, 회전근개파열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회전근개파열이라는 진단으로 모두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힘줄이 닳아 떨어지거나 갈라졌다고 하더라도 탄력이 있다면 근력은 다시 형성할 수 있고,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합니다. 어깨환자가 병원에 오는 까닭은 대부분 근력의 저하로 인해 통증과 유착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어깨힘줄파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