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석회성건염 힘줄을 알면 보인다

석회성건염 힘줄을 알면 보인다



석회성건염이란 힘줄 안에 석회가 침착되는 질환을 말하며 이 질환은 힘줄이 굳는 이른바 섬유화라는 증상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게 되는 질환입니다. 힘줄이 굳게 되자 석회가 빠져나가지 못한 채 굳어버리는 것이 석회성건염의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인데요. 여기서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는 일종의 힘줄 노화현상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나이를 먹기 때문에 섬유화가 나타나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겠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자연스러운 섬유화이기 때문에 모든 섬유화가 석회성건염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질환으로 이어지게 되는 섬유화라는 건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 최근 현대사회에서 두드러지는 만성증상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1. 원인: 섬유화

석회성건염의 가장 큰 원인 가운데 하나로는 섬유화를 꼽습니다.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는 것으로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힘줄이 노화 현상으로 인해 섬유처럼 뻣뻣해지고 질겨지게 되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건강한 힘줄이란 고무줄처럼 잘 늘어나고 수축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반대로 섬유화가 나타나게 되면 여러 질환에 노출되고 근육이 제 기능을 가지기 어렵습니다. 초기에는 뻣뻣해진다거나 결림, 뭉침 등이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흔히 섬유화로 인한 통증질환을 섬유근통이라고 부르며, 이 상태가 오랜 시간 진행될 경우 여러 질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섬유화성 질환은 석회성건염 뿐 아니라 충돌증후군, 관절와순파열, 회전근개파열, 오십견 등 여러 질환으로 이어지는 만큼 가급적 빠른 치료를 통해서 관련 질환을 치료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2. 회전근개

회전근개는 팔을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섬유화가 주로 나타나게 되는 기관이기도 합니다. 팔을 움직이게 하고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진 네 개의 근육모임을 말하는 것인데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이 서로 엉켜 팔의 구조를 이루고 움직이게 합니다. 따라서 회전근개에 문제가 나타나게 될 경우 이러한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밖에 없으며, 팔을 움직이게 한다거나 어깨를 회전시키는 기능이 점차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3. 석회성건염의 증상과 치료

석회성건염의 증상은 겉으로만 보고서는 판단이 어려울 만큼 그 질환을 가늠하기가 어렵습니다. 한 편으로 검사를 통해 힘줄 안을 보게 되면 섬유화된 힘줄, 석회를 모두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석회성건염의 경우 자가적인 진단으로는 판단이 어려운 반면 검사를 통해서는 정확한 원인과 경위를 밝혀낼 수 있습니다.


석회성건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석회의 상태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게 됩니다. 석회가 단단할 경우 바로 석회를 제거하면 되는 반면,석회가 말랑거릴 경우 통증이 크기 때문에 바로 치료할 수 없습니다. 이 때에는 석회를 진정시켜 단단하게 해준 뒤, 석회를 제거해야 합니다. 





또 동시에 석회성건염에서 빠지지 말아야할 치료로 섬유화 치료가 있습니다. 회전근개 힘줄의 섬유화는 석회성건염의 가장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재발이나 합병을 막기 위해서라도 힘줄의 탄력을 회복시키는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수술이 없이도 석회성건염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관련 질환을 치료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