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회전근개 어깨인대파열 비수술 치료란

회전근개 어깨인대파열 비수술 치료란






어깨인대가 파열이 되었다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다면 문득 걱정이 들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마 파열이라는 단어가 우리나라에서는 부상 이상의 개념으로 흔히 인식되었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사고나 부상으로 인한 파열이 아닌, 즉, 만성질환의 어깨인대파열이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찢어졌다거나 끊어졌다는 의미의 파열은 아닙니다. 사실 알고 보면 파열이란 단지 병리적인 명칭일 뿐 어떠한 심각성을 담고 있는 말은 아니므로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만성질환의 어깨인대파열이란 무엇일까요. 이는 회전근개에서 섬유화로 인해 생겨난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것은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겠지만 회전근개에서 나타난 섬유화의 증상이란 회전근개와 섬유화를 알아보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섬유화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는 질환입니다. 보통은 근육을 구성하는 힘줄에 많이 나타나는 만성적인 증상이며 힘줄의 노화증상입니다. 힘줄의 노화증상이라고 하면 나이가 많아 나타나는 노령화 현상 중 하나로 오해하기 쉬운데요. 그러나 노령화 현상이라기 보다는 주로 체질이나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며 그래서 젊은 층에게서도 섬유화성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섬유화성 증상 초기에는 승모근이나 날개죽지 부근에서 뭉침이나 결림 등이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 중에서 이후 어깨인대파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도 합니다.


섬유화는 힘줄의 탄력이 굳게 되는 것이고 이것이 파열로 이어지는 것은 힘줄이 오랜 시간 굳고 닳게 되어 이후 갈라지거나 닳아 떨어짐, 패임, 가늘어짐, 구멍이 나는 등의 염증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서부터 파열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즉, 파열이란 힘줄이나 인대에 나타난 어떠한 손상형 질환이지 끊어졌다거나 찢어졌다거나 하는 중부상을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회전근개

회전근개란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된 기관입니다. 극상근과 극하근, 견갑하근과 소원근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 근육이 서로 모여 팔을 움직이게 한다거나 어깨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됩니다. 회전근개는 팔을 움직이기 때문에 무척 활발한 기관 중 하나이고 신경의 분포가 적은 질환이기 때문에 또 한 편으로는 섬유화가 어느 정도 진행되고 파열이 나타나고 있어도 미미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통증이 작더라도 지속적으로 결림이나 쑤심이 있다거나 잠깐 잠깐 나타나는 통증이 따끔거리거나 심각할 때 이 힘줄의 검사를 통해서 문제의 경위를 파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회전근개는 하루에 삼천 번을 넘도록 활동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특히 힘줄의 노화가 빨리 오는 편이며, 주로 섬유화가 발생하는 기관은 가장 많은 활동력을 가진 극상근입니다. 그러나 이는 겉으로만 보고서는 판단하기가 어려우며 정확한 검진을 통해서 어깨인대파열의 발생요인을 찾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어깨인대파열을 치료해주기 위해서는 검사를 통해서 문제힘줄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절을 촬영하기 보다는 힘줄을 촬영하는 검사를 통해 문제 힘줄을 밝혀내야 하며 섬유화를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섬유화를 치료해준다는 것은 힘줄의 탄력을 다시 회복시켜 힘줄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진행 중인 파열을 멎게 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염증을 치료하여 근력을 회복시키고 어깨인대파열에서 나타났던 증상들을 자연스럽게 치료합니다.


어깨인대파열은 오십견과 그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종종 오해를 사던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질환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비수술로 치료해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회전근개의 어깨인대파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