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석회성건염 증상이 이상해요?

석회성건염 증상이 이상해요?





석회성건염은 힘줄 안에 석회가 자라나는 증상으로 힘줄의 탄력저하로 인해 석회를 배출시키지 못하는 과정에서 침착되는 질환입니다. 즉, 힘줄의 질환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때때로 엑스레이로 촬영이 되어 관절의 질환으로 오해를 사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건은 힘줄을, 염은 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석회성건염은 엄밀히 힘줄의 질환입니다. 오늘은 이 질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석회성건염은 증상이 없다?

석회성건염의 증상은 겉으로만 보고는 판별이 어려울 정도로 특이사항이 없습니다. 때로는 통증이 미미해서 석회성건염인지 모르는 반면, 또 어떤 석회성건염은 응급실에 실려갈 정도로 심각한 통증을 보입니다. 석회성건염의 통증이 심각할 때에는 종기가 곪는 통증과 비견한다고 하여 화학성종기라는 별칭이 생겨날 정도입니다. 이는 석회의 상태에 따라 다른 증상을 보입니다. 석회가 단단한 경우에는 통증이 잘 나타나지 않지만 반대로 석회가 말랑거릴 경우에는 통증이 심합니다. 따라서 석회성건염의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을 통해 관련 질환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볼 수 있겠습니다.


석회성건염의 원인은 우선 섬유화를 꼽아볼 수 있습니다. 섬유화란 탄력의 저하를 말하는 것으로 근육을 구성하고 있는 힘줄이 오랜 시간 굳고 뭉치게 됨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힘줄이 오랜 시간 굳게 되면 그 안의 석회물들이 빠져나가지 못한 채 침착되다가 결국 이것이 힘줄을 찌르는 과정에서 석회성건염이 나타나게 됩니다.






섬유화는 체질이나 유전, 노령화 등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며 또 여러 질환으로 번지게 될 우려가 큽니다. 대표적인 섬유화성 질환으로는 회전근개파열, 충돌증후군,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유착성관절낭염 등이 있습니다. 특히 회전근개파열의 경우 회전근개에 나타난 섬유화가 오랜 시간 진행되어 갈라지거나 닳게 되는 증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 섬유화성 질환 가운데 하나이기도 합니다.


섬유화성 질환을 치료해주기 위해서는 석회의 상태를 보며 치료의 스케쥴을 결정해야 합니다. 석회가 단단하고 굳어있을 경우에는 바로 체외충격파 치료를 통해 석회를 깨어 제거하면 되나, 말랑거릴 경우 통증이 상당하기 때문에 바로 치료가 어렵습니다. 이때는 힘줄의 섬유화를 치료해주면서 석회가 단단해지는 치료를 하다가 석회가 단단해져 통증이 잦아들게 되면 석회를 부수면서 석회성건염을 치료해줄 수 있습니다. 석회성건염의 치료에서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반드시 힘줄을 치료해주어 재발이나 합병을 막아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석회성건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질환은 생각 만큼 자주 볼 수 있는 질환은 아니지만 또 한 편으로 그리 드문 질환도 아닙니다. 잘 알아보시어 석회성건염에 대한 올바른 대비를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