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오십견 왜 팔에 통증이

오십견 왜 팔에 통증이





오십견이란 오십 세 이후에 나타난다고 해서 일종의 노령화 현상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정말 그랬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이 오십견이라는 이름이 무색하리만치 젊은 층에게서도 나타나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삼십 견이나 사십 견이라는 신조어도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이 오십견이란 어깨관절에 유착이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팔이 잘 올라가지 않고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을 말하는 것인데, 어느날 갑자기 밤에 통증이 나타났다거나 뒷좌석 물건을 집을 때, 또는 옷을 입고 벗는다거나 하는 생활에서 가장 큰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면 2~3개월이 지날 때부터 본격적으로 오십견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고, 물리치료나 운동을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이 질환은 정확히는 유착성관절낭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원인


오십견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원인을 손꼽자면 스트레스나 피로, 노령화, 체질 및 자세나 습관의 원인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힘줄의 섬유화 증상을 꼽아볼 수 있겠습니다. 섬유화라는 것은 굳어진다는 병리적인 명칭으로, 회전근개의 힘줄이 오랜 시간 굳고 뭉치게 된 것이 파열을 일으키고 이 파열이 오랜 시간 진행되면, 근력이 부족해지게 됩니다. 오십견은 근력이 부족해지자 나타나는 통증과 유착증상으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섬유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더욱이 섬유화는 스트레스, 피로, 노령화 ,체질 및 자세나 습관의 원인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는 질환데, 이 섬유화라는 만성증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충분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오히려 사람이라면 섬유화라는 것이 없을 수 없다고 보아도 무방합니다. 그리고 이 섬유화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회전근개파열, 충돌증후군,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등 다양하리만치 존재하고 있습니다.





섬유화가 있다고 해서 다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정도의 차이입니다. 사람에 따라 섬유화가 다 다르기 때문에, 이 섬유화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러나 섬유화 정도의 차이가 심하다면 이는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되기 떄문에 가급적 결림이나 통증이 있다면 관련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오십견의 증상


팔을 앞으로 또는 옆으로 들어 올리기가 어렵고 뒤로 젖히는 동작이 어렵습니다.


아래에서 팔을 들어올리면 팔이 귀에 붙지 않습니다.


눕거나 앉을 때 팔이 편하지 않아 베개로 받쳐주어야 합니다.


오십견을 치료한지 몇 년 후에 재발하게 됩니다.(다른 팔에서도 재발)


밤에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고 옆으로 누워 자기란 불가능합니다.


찬 곳에 가면 통증이 심해집니다.


팔을 잘라내고 싶을 정도로 통증이 심합니다.


길을 걷다가 부딪히면 자지러듯이 아픕니다.







| 오십견의 치료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오십견의 주된 원인은 힘줄이 닳아서 떨어지거나 가늘어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근력이 부족해지다 보니 몸이 힘줄을 보호하기 위해서 스스로 유착을 일으키게 되는 것인데, 이 유착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경우에는 통증을 진정시키는 치료를 해도 효과를 보지 못합니다. 그래서 오십견은 종래 불치병이라는 말도 있었지만, 정확히 말하면 불치라기 보다는 섬유화를 치료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말들입니다. 즉, 회전근개의 힘줄 문제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힘줄치료를 통해 유착을 치료해주어야 합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