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팔이안올라가요 원인증명 치료

팔이 안 올라가요 원인 증명 치료






이 안 올라가는 증상은 유착증상이라고 부르며 보통 회전근개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회전근개란 삼각근 안에 있는 근육의 모임으로써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관 중 하나인데요. 이 회전근개의 어떠한 이상으로 인해서 나타나게 되어 팔의 유착증상과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요즘 같은 겨울철에 이 회전근개의 문제는 심해지거니와, 또 명절이 다가오면서 심한 스트레스와 함께 찾아오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이에 대한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섬유화


회전근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섬유화가 대표적입니다. 섬유화란 오랜 시간 탄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힘줄이 섬유처럼 질겨지고 뻣뻣해진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이 섬유화는 스트레스, 피로, 노령화, 체질 및 자세나 습관의 문제로 인해서 나타날 수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섬유화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섬유화는 사람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모든 섬유화가 되는 것은 아니나, 심한 섬유화의 경우 회전근개파열, 충돌증후군, 석회성건염, 관절와순파열 등 다양한 질환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섬유화가 오랜 시간 이어지게 되면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팔이 안 올라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은 대표적으로 회전근개파열과 오십견이 있습니다. 이 질환은 회전근개의 힘줄이 오랜 시간 섬유화를 일으켜 파열을 일으키게 되는 데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파열로 인해 근력이 소실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 회전근개가 파열되었을 때의 유형


옷의 팔꿈치 부분이 헤져 구멍이 나듯, 힘줄 안에 구멍


힘줄의 두께가 가늘어짐


힘줄이 오목하게 패임


논바닥이 말라 갈라지듯, 힘줄이 갈라짐


힘줄의 탄성이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부풀어 오름







| 회전근개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 등으로 구성된 근육의 모임입니다 네 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근육 마다 맡은 바 역할에 따라 움직이고 기능을 수행합니다. 견갑하근은 등부뷔의 동작으로, 극상근은 팔을 옆으로 올리는 동작을 담당합니다. 이 네 근육 중 가장 섬유화로 인해 파열을 일으키는 근육은 극상근이라는 근개이며,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진단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회전근개의 힘줄에는 신경의 분포가 적기 때문에 회전근개가 섬유화되어 닳아 떨어지기까지 10년이 넘는 동안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파열이 오랜 시간 진행될 경우 근력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서 유착과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회전근개의 이상 환자들은 증상이 나타나자 마자 병원을 찾았는데, 바로 치료나 수술의 권유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는 회전근개 신경분포와 관련된 문제이기도 합니다.








| 치료


다행스럽게도 회전근개와 관련된 섬유화성 문제는 수술을 받는 경우가 극히 드뭅니다. 회전근개와 관련된 질환을 수술없이 치료하기 위해서는 힘줄의 기능을 살려 평생동안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치료해주도록 해야 합니다. 섬유화를 해결하고 탄성을 치료하면 근력이 살아나게 되고 유착이 풀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통증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더 이상 파열이 진행되지 않습니다 . 나이가들면 누구나 힘줄이 닳아서 떨어지기 떄문에 회전근개가 파열되었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수술을 받을 필요는 없는 셈입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