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깨치료

석회화건염 수술외 치료

석회화건염 수술 외 치료





석회화건염이란 힘줄에 비정상적으로 석회가 침착하여 통증과 유착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석회화건염의 증상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환자가 파악하기 정말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인데요. 석회화건염은 간혹 증상이 없이 석회가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극심한 통증이 오기도 합니다. 특히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화학성종기라고 해서, 그 통증이 무쳑큽니다. 종기가 곪은 것과 같은 통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석회성건염은 어깨 회전근개 힘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며, 석회가 침착하는 힘줄은 주로 극상근의 힘줄입니다.





| 원인


석회화건염은 회전근개의 힘줄에 섬유화가 나타나면서 일어나게 됩니다. 우선 석회화건염의 가장 큰 원인은 석회가 아니라 힘줄의 섬유화인데요. 섬유화란 굳어진다는 병리적인 명칭을 말합니다. 석회는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힘줄이 유연하고 탄력이 있을 경우 석회는 빠져나가 사라지는 반면, 섬유화되어 굳어버린 힘줄 안에서는 석회가 빠져나가지 않아 침착되고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섬유화의 증상은 이 뿐만이 아니라, 이후 회전근개파열이나 충돌증후군을 유발시키기도 합니다.


섬유화는 스트레스, 피로, 노령화, 체질 및 자세나 습관의 문제로 나타나게 되기 때문에 무척 많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이 섬유화가 모두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사람에 다라 섬유화의 차이는 심한 편입니다. 섬유화의 문제가 큰 사람은 석회성건염 뿐 아니라 다른 질환에도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전반적인 섬유화 검사를 통해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석회화건염의 환자 대부분이 극상근 및 회전근개 부분의 심한 섬유화 현상을 동반하며, 오랜 시간 진행되어온 섬유화가 어깨를 굳게 만들어 혈류 흐름을 원할하게 하지 못하게 하기도 합니다. 같은 섬유화 정도에도 석회가 침착되는 환자가 있고 아닌 사람이 있는데, 이것은 체질적인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고정부위의 통증, 극심한 통증은 섬유화가 해결되면 석회도 함께 진정되면서 석회생성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진단 및 치료


석회화건염은 엑스레이나 초음파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혹 석회가 엑스레이로도 검사가 되기 때문에 관절의 질환이라고 오해하시기도 하시는데, 석회화건염의 건은 힘줄을 염은 염증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분명한 힘줄의 질환입니다.  또 석회화건염은 이 섬유화된 힘줄을 치료해주지 않는다면, 석회를 제거했다고 하더라도 그 바탕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침착될 수 있습니다.



석회화건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석회의 상태를 보아야 합니다. 석회의 크기, 석회의 경도 등을 관찰하고 이에 따른 치료스케쥴을 세워 체외충격파 시기를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석회는 갓 짜낸 치약처럼 말랑거릴 때 통증이 심하고, 치약이 말라서 단단해질 때 석회의 통증도 가라앉게 됩니다. 즉, 석회가 오래되어 단단하게 굳어 있다면 통증이 나타나지 않지만 석회의 수분이 공급된다거나 염증이 있어 부풀게 될 경우 굉장히 큰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석회가 말랑거리는 상태에서 체외충격파를 받게 되면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게 되므로 석회 주위에 염증을 줄이는 주사를 놓고 염증을 가랑낮힌 뒤, 석회가 단단하게 굳을 때까지 상태를 보며 기다리다가 체외충격파로 석회를 꺠주어야 합니다.


또 한 쪽 어깨에 석회가 있다면 반대팔에도 충분히 나타날 수 있으므로 검사는 양쪽 어깨를 같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통증이 있으신 분은 자가진단 테스트를 해보시기 바랍니다.